[출처] https://newstory-of-dev.tistory.com/entry/FTP-Windows10-FTP%EA%B5%AC%EC%B6%95%ED%95%98%EA%B8%B0 여기서 아래 IP 주소의 경우 공유기에서 설정이 된다. 인증은 익명은 제외하고 기본으로만 한다. 액서스 허용은 FTP 사용자를 선택하고, 사용권한을 준다. FTP 사용자는 내PC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후 관리에서 사용자에서 추가한다. 외부에서 접속할때는 포트포워딩을 해주어야 한다. 아래 1에 접속시 사용할 포트, 2에는 사진6의 포트를 적는다. 접속방법 ftp:// 아이디@접속주소:포트번호(위에 1번)
코어와 쓰레드 개념 정리 [출처: https://master-hun.tistory.com/87] 코어 - CPU칩셋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코어 유닛 갯수 이다. 명령어를 가져와 계산하고 해석하는 반도체 유닛이 n개 있다는 것을 뜻한다. - 쉽게 설명하자면 주방에 요리사 숫자가 n명 이라는 것과 동일하다. 쓰레드 - 논리적인 부분으로 접근해야한다. 한 코어에는 하나의 쓰레드를 가지고 작업한다. 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하나의 코어가 두개의 쓰레드를 가지고 작업을 한다. - 쓰레드는 요리할 수 있는 프라이팬에 비유할 수 있다. 프라이팬이 m개 있다는것 - 이 것을 응용하면 요리사(코어)n명이 프라이팬(쓰레드)를 m개 가지고 요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이퍼 스레딩(HT) - 물리적인(코어) 장치에 논리적인(스레드) 장치를 두개 할당하여 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다. - 운영 체제는 코어 하나당 스레드 두개로 인식을 하게 된다. 1코어 2스레드, 2코어 4스레드, 3코어 6스레드, 4코어 8스레드 가 된다. 클럭 - 쿨럭쿨럭!! 이 아니고 클럭이다. - 클럭은 높을수록 일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말한다. - 단위는 GHz 이다. 즉 요약해보면 HT를 지원하는 듀얼코어는 4개의 스레드가 있다. 이말인 즉슨.. 2명의 요리사가 4개의 팬을가지고 4명의 손님에게 대접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코어 개수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이유는? - 식당에 손님은 많이오고 일손은 부족한데, 요리사를 늘리지 않는다는 것은 더 많은 손님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현대에 우리는 여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작업을 하게 된다. 카카오톡, 스카이프, 크롬, 음악, 에프터이팩트, 프리미어, 포토샾 등등.. 이 많은 작업을 한번에 하는 우리 현대인들을 위해 코어들은 계속해서 증가하는 이유이다. - 코...
1. 질의내용 한국의 발전설비용량을 설비별로 표로 정리 (단위 GW) 다음 내용을 각각 정리 (단위 GW) 1. GW, GWh의 변환공식 2. AI 데이터센터의 1일 전력소비량 3. 원자력 발전기 1기당 생산 전력량 4. 1GW 생산단가 5. 서울시 1일 소비전력 2. 학습계획 절차 확인요청 질의내용을 가지고 학습계획 수립 3. 조사, 시간이 좀 걸림 4. 결론. 대한민국 발전 설비 용량 현황 및 에너지 지표 분석 1. 서론 대한민국의 에너지 부문은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기술 발전, 그리고 국제적인 탄소 중립 목표에 발맞춰 역동적인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대한민국 발전 설비 용량을 발전원별로 분석하고, 관련 주요 에너지 지표들을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이를 통해 현재 에너지 부문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 에너지 정책 방향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보고서는 최신 자료를 기반으로 발전 설비 용량, 단위 환산, 특정 부문의 에너지 소비량, 발전 단가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2. 대한민국 발전 설비 용량 현황 (GW) 2.1 현재 설치 용량 (표: 대한민국 발전 설비 용량 현황 - 2022년/2024년 초) 대한민국의 발전 설비 용량은 다양한 에너지원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현황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다음 표는 2022년과 2024년 초의 주요 발전원별 설치 용량을 보여줍니다. 에너지원 설치 용량 (GW) - 2022년 설치 용량 (GW) - 2024년 초 총 용량 대비 비율 (%) - 2024년 초 원자력 약 24.7 - 26.1 약 24.5 17 석탄 약 38.1 - 42.9 약 83.5 (열에너지 58%) 해당 없음 LNG (천연가스) 약 41.3 - 43.5 약 83.5 (열에너지 58%) 해당 없음 태양광 약 20.97 - 24.8 약 33.1 (재생에너지 23%) 해당 없음 풍력 약 1.7 - 1.8 약 33.1 (재생에너지 23%) 해당 없음 수력 약 6.5 약 33.1 (재생에너지 23...
댓글
댓글 쓰기